미국의 뉴스나 신문에서는 1920년대에 일어났던 Great Depression 대공황을 빗대어 Great Resignation 이란 표현을 써서
올해 초부터 시작된 이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기 시작 했습니다.
많은 회사들의 직원들이 갑작스럽게 대량으로 회사를 떠나면서 그 빈자리 채우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
하버드 비지니스 리뷰에 실린 기사를 읽어보니 올해 7월쯤에는 미국 전역에 천백만개의 잡 오프닝이 있었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이 Great Resignation은 주로 30-45세의 연령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경력이 별로 없는 20대 젊은 신입사원을 뽑아서 줌미팅만으로 트레이닝을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걸 회사들도 잘 알기 때문에,
신입사원을 뽑는 경우가 드물었고, 따라서 일정기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중견급 사원들이 이직이 두드러졌다네요.
펜데믹이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모든게 불확실했기 때문에 회사측도 직원들도 일단 좀 지켜보자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직원들이 이동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는데, 이제 불확실성이 차츰차츰 없어지면서
그동안에 직장 옮기고 싶었던걸 참았던 사람들이 한꺼번에 그만두고 나오면서
지금과 같은 사태가 벌어졌다고 보는군요.
IT하고 헬스케어쪽에서 이동이 많았다고 하는데, 이것도 역시 펜데믹 때문에 누가 가장 바빴는가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되는 부분입니다. 갑자기 늘어난 업무량 때문에 번아웃을 경험하고 그래서 이직을 결심한 경우가 많았을거라고 예상을 하는군요.
언젠가는 모두들 제자리를 찾아 가겠지만, 요즘 참 별의 별 일이 다 일어납니다.
https://www.ddanzi.com/free/705590249
자유게시판 - 요즘 미국 회사들이 겪고있는 가장 큰 문제 - 직원들의 대탈출
미국의 뉴스나 신문에서는 1920년대에 일어났던 Great Depression 대공황을 빗대어 Great Resignation 이란 표현을 써서 올해 초부터 시작된 이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기 시작 했습니다. 많은 회사들
www.ddanzi.com
'경제 > 경제외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맥지수의 중요성 (0) | 2021.10.30 |
---|---|
유류세 20% 인하해줬더니 정부욕먹을 인터뷰 뿌려지는 중 (0) | 2021.10.27 |
40대 평균 경제상황(재산상황) (0) | 2021.10.17 |
건물주 국가 일본의 돈 버는 방법(일본의 5대 종합상사) (0) | 2021.10.16 |
코스트코 1위 매장 근황.jpg (0) | 2021.10.15 |
현재 난리 난 집단대출 상황 (0) | 2021.10.14 |
일본 버블붕괴 직전 상황. (0) | 2021.09.08 |
요금 비싼 신분당선이 적자인 이유 (0)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