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더웠던 올해 여름에 8월 전기 요금 고지서가 겁난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10가구 중 8가구는 지난해보다 요금을 더 많이 낼 걸로 보입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린 8월이 지나고 전기요금 고지서를 기다리는 시민들은 불안합니다.


 



지난달 주택 평균 전기 사용량은 363kWh로 지난해 대비 9%가량 늘었습니다.


많이 쓸수록 요금이 더 늘어나는 누진제 영향에 평균 요금은 5만 원대에서 6만 원대로 13% 더 크게 늘었습니다.


전체 가구의 80% 가까이가 지난해보다 더 많은 요금을 내는 건데 113만 가구는 한 달 부담이 5만 원 넘게 커질 전망입니다.

한전은 우려했던 것만큼은 아니란 입장입니다.




1, 2인 가구가 늘며 낮 시간 전기 사용량이 줄고 에어컨의 전력 효율도 좋아진 영향입니다.




취약계층과 출산 가구 요금 할인 등으로 요금이 같거나 줄어든 가구도 24%에 달합니다.


다만 최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한전의 재정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여름 이후 요금 인상을 단행하겠다고 처음 밝힌 만큼 앞으로 부담은 커질 전망입니다.


문제는 시기인데, 추위로 난방 수요가 급증하기 전 요금을 올릴지 주목됩니다.



 

 
[내용펼치기(클릭)]
유난히 더웠던 올해 여름에 8월 전기 요금 고지서가 겁난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10가구 중 8가구는 지난해보다 요금을 더 많이 낼 걸로 보입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린 8월이 지나고 전기요금 고지서를 기다리는 시민들은 불안합니다.


 



지난달 주택 평균 전기 사용량은 363kWh로 지난해 대비 9%가량 늘었습니다.


많이 쓸수록 요금이 더 늘어나는 누진제 영향에 평균 요금은 5만 원대에서 6만 원대로 13% 더 크게 늘었습니다.


전체 가구의 80% 가까이가 지난해보다 더 많은 요금을 내는 건데 113만 가구는 한 달 부담이 5만 원 넘게 커질 전망입니다.

한전은 우려했던 것만큼은 아니란 입장입니다.




1, 2인 가구가 늘며 낮 시간 전기 사용량이 줄고 에어컨의 전력 효율도 좋아진 영향입니다.




취약계층과 출산 가구 요금 할인 등으로 요금이 같거나 줄어든 가구도 24%에 달합니다.


다만 최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한전의 재정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여름 이후 요금 인상을 단행하겠다고 처음 밝힌 만큼 앞으로 부담은 커질 전망입니다.


문제는 시기인데, 추위로 난방 수요가 급증하기 전 요금을 올릴지 주목됩니다.


 

최근글
인기글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
당황
피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