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에 불고 있는 공무원열풍과 하급공무원들이 받는 대우를 고려했을 때 임금과 고용안정의 교환비는 고용안정쪽으로 최대치에 가까움. 따라서 구직자는 장기계약이라면 적은 임금이라도 상관없어하지만 반대로 단기계약인 경우 많은 임금을 원함.
아직까지는 높은 교육비로 일정이하의 임금을 받느니 단기 알바를 전전하거나 일을 하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지만, 점차 내려가고 있는 추세인데다 정부가 노동개혁을 계속해서 밀어붙이고 있어 한국인들 스스로가 임금수준 하락을 대비하고 있음.
이것은 현재시점에서 인력을 장기계약으로 싸게 묶는 것이 손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함. 고용안정성이 낮아지고 노동력의 화폐환산가치가 장기적으로 계속 하락할 것으로 보이므로 현재 취업 중인 일반 국민입장에서는 교육비 등의 부문에서 철저하게 소비를 줄여 허리띠를 더 졸라매는 게 현명한 판단임.
따라서 부실기업문제도 있고, 양적완화를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것은 이상할 게 없는데 문제는 현 노동시장이 극단적인 초과공급 상황이고 낙수효과에 대한 믿음이 깨진 상황이기 때문에 반발하는 여론이 거셀 수 밖에 없음.
정치적인 선택으로 이러한 여론을 잠재우려면 정부의 화폐흐름, 조세제도나 복지제도를 바꿔야만 하는데 박근혜 정부는 후자는 물론이고 전자도 선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 노동개혁과 양적완화는 추진되지 힘들 것으로 보임.
'경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저유가 체감하기 (0) | 2016.04.30 |
---|---|
십일조 의무화 논란 (0) | 2016.04.30 |
창조경제의 세부목록 (0) | 2016.04.30 |
가격도 밀리고 품질도 밀리는 한국 분유 (0) | 2016.04.30 |
한국의 인구밀도 (0) | 2016.04.30 |
건설업계의 하청구조 (0) | 2016.04.28 |
알리안츠 생명 저가 매각 (0) | 2016.04.17 |
모 원룸맵 거품광고 (0) | 201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