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꼴찌’ 한국… 남성 육아 분담 낮은 탓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89065?sid=102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노동시간이 가사노동 육아 분담할만큼 적던가? 2005~2015년 자료인데, 추세 상 지난 7년 동안 남성의 가사분담율이 늘면 늘었지 줄진 않았을텐데, 출산율은 계속 내려간다.
 
  위 기간은 물론 지금까지도 여성의 사회 참여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났다고 가사 육아 시간이 절반이 되지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났다고 남성의 노동 강도가 절반이 되진 않았다. 주 52시간제도 윽박지르다시피해서 된 게 최근의 일이다. 그마저도 탄력근무제에 날아갈 예정.
 
  
  단순하게, 남자와 여자 양 부부에게 부과되는 노동+육아강도는 과거보다 더 세졌다. 그리고 이 짓을 연봉급의 예식비용을 들여가면서 하라는 문화적 압박이 존재한다. 페미니즘이 주 원인이라고 소리지르는 사람도 있지만, 글쎄다.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인터넷/오프라인은 분명 갈라져있다. 페미니즘이 주 원인이라면 페미와 남혐이 극심하다는 직업군에선 출산율이 훨씬 더 낮아야한다. 그런데 페미니즘 논란이 가장 많이 터지는 곳 중 하나가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사 분만율은 일반인의 1.5배 이상이다.
 
 
 
 
  한국의 저출산이 결국 빈부격차문제라는 것을 잘 설명하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설거지론'이다. 중간층의 추락으로 인해 결혼 선택지를 열기 어려워진 현 세태를 잘 설명해준다. 동시에, 고소득 외벌이 - 전업주부 체제에 대한 혐오가 듬뿍 들어가 있다.
 
 
  출산율이 낮은 원인은 근본적으로 전부 돈문제다. 여성이 오래 일하는 것도 따지고보면 돈 문제다. 부부가 낮은 시간당 임금으로 오래 일해야 애 키울 돈을 모을 수 있게 사회구조를 바꿔놓고는 뜬금없이 가사노동 탓을 한다. 이를 '이민받자'나 '고용유연화'처럼 값싸게 해결하고자한다면, 원인진단을 돈문제에서 멀어지도록 해야한다. 돈문제라는 원인진단에서 접근하면 해결대안도 현금주기로 흐르기 쉽기때문이다. 그리고 이왕 하는 거 더 값싸게 해결하려면 이민을 받았을 때, 또는 고용유연화로 손해보는 사람들(치안, 임금하락 등)에게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 말하는 데는 소극적이어야 한다. 

 

 
 
 
 
 
[내용펼치기(클릭)]
출산율 ‘꼴찌’ 한국… 남성 육아 분담 낮은 탓도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노동시간이 가사노동 육아 분담할만큼 적던가? 2005~2015년 자료인데, 추세 상 지난 7년 동안 남성의 가사분담율이 늘면 늘었지 줄진 않았을텐데, 출산율은 계속 내려간다.
 
  위 기간은 물론 지금까지도 여성의 사회 참여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났다고 가사 육아 시간이 절반이 되지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어났다고 남성의 노동 강도가 절반이 되진 않았다. 주 52시간제도 윽박지르다시피해서 된 게 최근의 일이다. 그마저도 탄력근무제에 날아갈 예정.
 
  
  단순하게, 남자와 여자 양 부부에게 부과되는 노동+육아강도는 과거보다 더 세졌다. 그리고 이 짓을 연봉급의 예식비용을 들여가면서 하라는 문화적 압박이 존재한다. 페미니즘이 주 원인이라고 소리지르는 사람도 있지만, 글쎄다.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인터넷/오프라인은 분명 갈라져있다. 페미니즘이 주 원인이라면 페미와 남혐이 극심하다는 직업군에선 출산율이 훨씬 더 낮아야한다. 그런데 페미니즘 논란이 가장 많이 터지는 곳 중 하나가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사 분만율은 일반인의 1.5배 이상이다.
 
 
 
 
  한국의 저출산이 결국 빈부격차문제라는 것을 잘 설명하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설거지론'이다. 중간층의 추락으로 인해 결혼 선택지를 열기 어려워진 현 세태를 잘 설명해준다. 동시에, 고소득 외벌이 - 전업주부 체제에 대한 혐오가 듬뿍 들어가 있다.
 
 
  출산율이 낮은 원인은 근본적으로 전부 돈문제다. 여성이 오래 일하는 것도 따지고보면 돈 문제다. 부부가 낮은 시간당 임금으로 오래 일해야 애 키울 돈을 모을 수 있게 사회구조를 바꿔놓고는 뜬금없이 가사노동 탓을 한다. 이를 '이민받자'나 '고용유연화'처럼 값싸게 해결하고자한다면, 원인진단을 돈문제에서 멀어지도록 해야한다. 돈문제라는 원인진단에서 접근하면 해결대안도 현금주기로 흐르기 쉽기때문이다. 그리고 이왕 하는 거 더 값싸게 해결하려면 이민을 받았을 때, 또는 고용유연화로 손해보는 사람들(치안, 임금하락 등)에게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 말하는 데는 소극적이어야 한다. 

 

 
 
 
 
 

최근글
인기글
이모티콘창 닫기
울음
안녕
감사
당황
피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