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지방선거에서 가장 먼저 걸러야 할 후보는 생활근거지가 해당 지역에 없는 사람이다. 예를 들면 자기 집은 서울이고, 가족들도 다 서울사는데 선거구에만 세들어 사는 후보. 자기 집이 해당 지역에 없으니까 당선되고나서 세금으로 전세 공관을 쓰는 경우까지 있다.
그 다음 기준은 사람마다 엇갈릴텐데, 최근 주목할만한 건수가 있다. 대선 이후 공무원 인수인계 관련 폭로가 끝도, 정말 끝도 없이 터져나온다. 직렬 구분도 없고, 지역 구분도 없다. 여기서 주목할 점. 인수인계받는 공무원 본인이 업무를 잘 모르는데, 과연 윗사람인 선출직은 잘 알까?
인수인계 문제는 민원인, 유권자, 시민, 납세자들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심각해지면 공무원의 면직(사표제출)이라는 결과로 이어진다. 중간 중간 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인수인계 문제가 더 꼬이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유권자들이 깊게 관심을 가지지않아서 그렇지 면직율 통계에서 이상신호가 발생되며, 심지어는 신출내기 공무원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비극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런 지역들은 선거철이라고 화려한 적극행정 우수사례 내세우지만, 정작 기본이 안되어있어 안쪽은 곪아터져있다. 이런 곳에서 재선 노린답시고 현직 후보들 또 튀어나온다 생각하면 머리가 아파온다.
'정치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가부 폐지, 남녀갈라치기 중단하라는 더불어민주당 (0) | 2022.05.07 |
---|---|
김은혜 후보의 '중국인 부동산, 투표권 제한' 공약이 중요한 진짜 이유 (0) | 2022.05.06 |
여성가족부 폐지 -> 인구가족부 발의. 목적은 이민청, 재외동포청? (0) | 2022.05.05 |
또 시작된 육아가사분담 = 저출산 선동 (0) | 2022.05.04 |
검수완박 정의당 전원 찬성 진중권 반응 (0) | 2022.04.30 |
검수완박 검찰청법 국회 본회의 통과. 윤석열 정호영 사태 나비효과 (0) | 2022.04.30 |
부산대 공대 주말등산 강제참석 사태 논란 (0) | 2022.04.30 |
경기지사 지방선거(김동연 김은혜 강용석)는 서울 vs 경기도 대리전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