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들은 지금 선거돌풍을 일으키고있는 유럽의 정당들을 '극우'라고 표현한다. 인종차별적인면을 보면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자칫 이들이 경제적으로도 기존 우파와 비슷하다는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경제적으로는 완전히 정 반대다. 풀어서 말하면 '이민자에게 돈 쓰지말고 복지를 늘려서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잘먹고잘살자'다. 퍼주기에 가까울 정도로 복지성향이 강하다. 정통보수측에서 이들이 집권하면 정부가 파산할 거라고 공격할 정도다. 그리고 지금 김종인 후보는 한국에서 이쪽 방향으로 승부수를 띄울 수 있는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성공확률은 낮지만 효과가 나타나게되면 대선판 전체가 뒤틀린다.
빵 한덩어리를 요구하면 최악의 경우 반 덩어리를 얻겠지만, 반 덩어리를 요구하면 빵 부스러기를 얻을 거다. 미국인들은 빵 부스러기가 필요하지 않다. - 버니 샌더스
교육수준이 높은 국가에서 어떤 공약을 과격하게 질렀을 때 대박이 터지느냐 터지지않느냐 여부는 후보자가 해당 공약을 지지한 사람들을 얼마나 합리적인 유권자로 만들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이를 충족시키지못하면 해당 공약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허경영 지지자가 되어버린다. 도널드 트럼프는, 자신의 과격한 공약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돈판으로 오염된 기존 정치권, 거액을 들여 정치권을 조종하는 월가, 그들과 한통 속인 언론에 조종당하지않는 합리적인 유권자로 만들었다. 반대진영의 버니 샌더스는 자신의 공약이 과격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해서 지지자들의 합리성을 지켜주었다.
반면 이재명 시장은 지지자들에게 합리성을 부여하는 대신 공약을 합리성에 끼워맞추려고했다. 예컨데 기본소득으로 운을 띄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구체적인 액수는 연 130만원 정도였다. 1달에 약 10만원 수준이다. 적은 액수로 인해 주목도 못받고, 기본소득이라면 눈에 불을 켜고 물어뜯으려는 세력에게 공격만 받았다. 4차산업혁명은 지지자들의 합리성을 지켜줄만한 재료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김종인 후보는 과거 박근혜 후보를 경제민주화로 도와줬다가 제대로 망한 적이 있다. 경제민주화를 요구했더니 창조경제로 돌아왔고 선거가 끝나자 팽당했다. 정말로 빵 반 덩어리를 요구했더니 부스러기로 돌아왔다. 경제민주화가 창조경제로 돌아온 경험은 유권자들도 공유하고 있다. 이런 김종인 후보가 '경제공약만' 문재인 후보의 좌측으로 추월, 공격적인 경제 공약으로 승부를 걸어, 중도진보 혹은 경제만 진보 성향인 유권자들이 공약을 100% 이행하지않아도 절반이라도 해줬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게 만드는 데 성공한다면 판 전체가 크게 뒤틀린다. 지나친 거품공약이라는 지적에는 경제민주화를 요구했더니 창조경제로 돌아왔다고 대응할 수 있고 대응과정에서 경제관료 커리어는 큰 도움이 된다. 비전문가가 내는 극단적인 공약은 그냥 선동이지만 같은 주장을 고위경제관료출신이 하면 리스크가 적다.
동시에 전통적으로 보수인사로 분류되기때문에 보수유권자들부터 경제 공약이 100% 이행되지 않을 것이며, 경제 외 요소들은 보수적이라는 믿음을 받을 수 있다. 지금 상황에서 보수표는 표 확장성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당기면 당겼지 노린다고 얻을 수 있는 표가 아니다. 특히 반재벌적 이미지를 가진 무소속 후보가 보수표를 얻기위해 기존의 보수정치권이나, 전 보수언론사주와 단일화를 하면 적폐청산이라는 슬로건만 강해진다. 어차피 이번 대선은 보수진영이 승리하기 매우 힘들어서 보수유권자는 통큰타협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걸 보수유권자 스스로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양방향 확장성을 포기할 이유는 전혀 없다. 홍준표 후보의 표 확장성은 매우 낮고, 유승민 후보는 배신자 프레임에 시달리고 있다. 안철수 후보는 보수라기보다는 아웃사이더에 가깝다. 문재인 후보는 아들취업논란으로 시끄러운 상태다. 스포트라이트만 잘 끌어온다면 지지표를 강탈해올 수 있다.
대통령은 단 1명만 될 수 있다. 단일화를 한다면 공동 승리까진 아니더라도 소소한 전리품은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김종인 후보가 단일화에 협조할만한 입장인지 의문이 든다. 이 사람은 지난 선거에서 이미 한번 헛다리를 짚었다. 김종인 후보가 타 후보를 지지하면서 사퇴했을 때, 과연 그 후보에게 이득이 될까? 우회로가 보이지않는 가운데, 국회의원직을 걷어찬 순교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지 매우 흥미롭다.
'정치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철수 단설 유치원 논란 (0) | 2017.04.11 |
---|---|
안철수 딸 안설희 재산공개의혹, 이 기회에 공직자윤리법 뜯어고쳐야 (0) | 2017.04.10 |
이언주 민주당 탈당 국민의당 입당, 과연 안철수에게 득이 될까? (0) | 2017.04.05 |
19대 대선주자 SWOT 분석 (0) | 2017.04.05 |
문재인 대선 후보 확정, 안철수의 딜레마 (0) | 2017.04.04 |
국회의원 숫자를 늘려야 하는 이유 (0) | 2017.03.20 |
단일 개헌안 마련... 19대 대통령 임기 3년 합의추진 (0) | 2017.03.19 |
전략적 인내는 끝났다, 틸러슨 발언과 '선'기자회견 '후'회담 (0) | 2017.03.18 |